-김헌민 서울대 의대 교수 겸 분당서울대 소아청소년과 교수
“현재 의료 분야의 AI 도입 수준은 의사가 AI가 판단·작성한 환자 상태를 참고해 진료하는 정도다. 이러한 AI 기술 보조로 진료행위 효율이 30% 향상됐다는 연구결과가 해외 한 논문에 실리기도 했다.
-유한주 네이버클라우드 디지털헬스케어 랩리더
|
정부는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수 부족으로 인해 의료 공백이 발생하고, 우울증·불안장애로 고통받는 국내 환자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AI를 활용해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날 의료 분야 AI 도입으로 질 좋은 의료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I가 의료행위 보조 수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위해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의료기기는 현행법상 법적으로 인허가를 받아야 사용 가능하다.
이준영 카카오헬스케어 정책지원팀 이사는 “전 세계적으로 생성형 AI 의료기기의 인허가 등 관련 가이드라인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국내 식약처에서 올 하반기 삼성 AI 의료기기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과기정통부 등 부처와도 잘 협업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박윤규 차관은 “의료 분야에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을 지원해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 보급 등 국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AI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