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대표단의 방남에 따른 남북대화 진전에 대한 평가 및 후속조치가 거론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서두르기보다는 잠시 호흡을 멈추고 현 단계에서 최적의 대응방안을 찾기 위한 신중모드를 선택한 것이다. ‘평창올림픽 이후’를 내다보며 한반도를 둘러싼 복잡다단한 고차방정식 해법 마련에 들어간 셈이다. 섣부른 입장 발표는 국내외적으로 불필요한 논란만 가중시키면서 오히려 대화국면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文대통령, ‘신중 또 신중’…대화 기조 이어갈 ‘대북특사’ 고심
문 대통령은 △설 민생대책 △내수증진 대책 △반부패 대책 등 국내 현안만 언급했다. 북한 대표단의 방남이라는 메가톤급 이벤트 이후 처음으로 열린 국무회의라는 점에서 대통령의 메시지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완전히 빗나간 것이다. 문 대통령은 침묵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시급히 다뤄야 할 사안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남북대화 분위기를 이어나가고 문 대통령의 평양방문 성사를 주도할 대북특사를 선정해야 한다. 임종석 비서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거론되는 가운데 깜짝 히든카드가 제시될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 성사 여부, 시기와 형식, 북미대화 재개 등에 대한 입장도 정리해야 한다.
◇미·중·일·러 등 한반도 4강과 조율…안정적 대화국면 기반 조성
한반도 주변 4강으로부터 남북대화에 대한 적극적인 동의를 이끌어낸다면 문 대통령의 남북대화 구상은 보다 탄력을 낼 수 있다. 특히 한미합동군사훈련의 중단 또는 축소, 북한의 핵동결 또는 비핵화 조치 이행 등 양대 난제가 극복되지 않으면 남북대화가 진전되기도 어렵다. 문 대통령은 줄곧 북미대화 재개와 북핵문제의 단계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13일 라이몬즈 베요니스 라트비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도 남북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북한과 대화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