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에 따르면 국내 생수는 대부분 지하수이고, 생수의 기본 기준을 만족해야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즉,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고, 소비자가 느끼는 차이점은 브랜드 가치나 마케팅 전략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최근 환경부 조사 ‘수질기준 부적합’ 업체 소식은 소비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이 물을 마셔도 될까?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수질기준 부적합 판정을 연이어 받은 업체는 수원지가 오염됐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거르는 게 좋다.
|
그런데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6년간 61개 생수 제조업체에서 제품수 수질 기준 부적합 사례는 11개사 12건에 이르며, 같은 기간 원수에서 43건의 수질기준 위반 사례도 발생했다. 매년 2~3회 수질기준 위반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부적합 사례는 수원지 주변이 오염되었거나 지하수를 끌어 올리기 위해 설치한 관인 취수공 관리가 적절하지 않아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고 특정 지역이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도 없다. 가령 경기도 포천에서 만드는 생수는 수원지에 따라 수질이 좋을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다. 제주도라고 해서 무조건 수질이 좋은 것도 아니다.
아쉽게도 국내 여건상 라벨만으로 생수의 수질기준을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국산 생수에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불소 등 무기물 함량이 표시돼 있는데 적당한 양이 포함된 생수를 고르면 된다.
현재로선 생수 부적합 판정을 받을 곳을 주요 감시지역으로 보고, 여러 번 판정을 받은 곳은 거르는 게 가장 좋다. 지방자치단체나 환경부 등에서도 앞으로 생수 업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국민들이 부적합제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공표방법을 다양화하는 부분도 앞으로 필요하다. 유럽처럼 앞으로 무기물 표시 함량을 늘려 소비자의 선택 권한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이번 편은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의 도움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