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은 “윤석열 후보가 당선된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기도 전에 인수위와 재계 및 사용자 단체 등이 지역, 업종별 구분 적용과 함께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부정적 목소리를 내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며 “하지만 최저임금 적용 노동자가 주로 고용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경우 업종별 생산성 및 지불 능력의 차이가 업종별 차등적용을 실시할 정도로 크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신을 학교 급식실에서 비정규직 조리실무사로 일하고 있다고 밝힌 김수정 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은 “학교 비정규직의 급여 체계는 직종에 따라 1유형, 2유형, 특수운영직군 등 너무나도 다양하고 각 유형마다 기본급도 다르고 받는 복리후생수당 등도 다르다”며 “직종별로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 교육청과 임금 교섭을 진행할 때 복잡한 임금 체계로 인해 매우 힘이 들기도 하다”고 토로했다.
업종별 최저임금은 업종별로, 기업별 상황에 따라 노동자의 최저소득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노동자간 불평등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근로자위원은 “사업 종류별 구분 역시 업종별로 노동 가치가 다르다는 의미로 해석돼 소외계층 간 갈등과 양극화를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동계는 최저임금 자체를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은 “최저임금의 결정 기준을 현실에 맞게 가구생계비를 기준으로 바꾸고 개악된 산입범위 정상화, 수습 노동자 및 장애인 노동자에 대한 차등적용 금지, 업종별 구분적용 삭제, 공익위원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소득 불평등과 사회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최저임금제도가 확립되도록 해야할 것”이라며 “또 정부의 오분류로 인해 최저시급에 한참 미달하는 임금을 받고 있는 배달노동자들을 포함한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자 등 (특수형태고용종사자) 문제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