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올해까지 누적 적자가 5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원자재 수급 △거래선 복구 △직원·대리점 및 소비자 신뢰 회복 등 해결할 과제가 산적해 정상화까지는 상당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
푸르밀이 사업 종료 철회를 결정한 것은 노조와 대리점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면서다. 사측의 일방적 정리해고 통보에 반발한 노조 측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
이후 푸르밀 노사는 지난달 24일·31일과 지난 4일·8일 1~4차 노사 교섭을 진행했다.
지난 9일에는 푸르밀 대리점주로 구성된 ‘전국푸르밀대리점 비상대책위원회’가 서울 영등포구 푸르밀 본사 앞에 모여 “사업종료 조치로 발생하는 대리점의 손해를 보상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푸르밀 대리점은 전국에 총 500여 곳이 있다.
최종적으로 신동환 대표를 비롯한 사측은 노조 측의 주장(30% 구조조정안)을 수용키로 했다. 푸르밀 측은 “직원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했다”며 “특히 노동조합의 뼈를 깎는 희생과 도움으로 구조조정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다.
|
푸르밀은 “지난 약 한 달간 국민 여러분, 특히 저희 제품을 사랑하고 애용해주신 소비자에게 안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게 돼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45년 전 창업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고자 한다. 회사에 대한 미움을 거둬주시고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봐달라. 좋은 제품으로 보답하겠다”고 호소했다.
푸르밀은 신동환 대표 취임 첫해인 2018년 1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이후 2019년 88억원→2020년 113억원→2021년 123억원 등 적자폭이 커지면서 지난 4년간 누적 적자가 300억원을 돌파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올해도 180억원 이상의 영업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사측의 일방적인 사업 종료 통보 이후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는 것도 과제다. 이날 결정과 별도로 푸르밀은 14일까지 근속 연수 만 3년 이상 기능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만 10년까지는 5개월치, 만 10~25년 근속자는 6개월치, 만 25년 이상일 경우 7개월치 월급을 위로금으로 지급하는 조건이다. 법정 퇴직금과 미사용 연차수당은 별도다. 희망퇴직 신청 인원이 직원 30%에 미달할 경우 권고사직을 시행한다.
푸르밀 관계자는 “직송 농가를 제외하면 낙농진흥회와 원유계약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 당장 생산을 하려고 해도 원부자재에 대한 수급 계획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자연스럽게 조직 슬림화로 가는 수순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금융기관과의 거래와 기존 거래처 및 대리점·직원들과의 신뢰회복 등 해결할 문제들이 많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