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영향으로 해운·항공 운임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올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냈던 항공·해운업계는 최근 운임 상승에 따라 어느 정도 수익성 회복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반면 수출 중소기업은 수출 비용이 늘어나는 한편 선적 역시 늦어지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
5일 업계에 따르면 해운 운임 기준이 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달 30일 기준 1529.9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5월(1501.46) 이후 8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아시아∼북미 서안 노선은 FEU(12m 컨테이너 1개를 일컫는 단위) 당 3849달러로 연초와 비교해 149% 상승했다.
항공 운임 역시 마찬가지다. 홍콩에서 발표하는 TAC항공운임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북미∼아시아 노선 항공 화물운임은 ㎏당 6.21달러였다. 이는 전년 동기 운임(3.42달러)과 비교해 82% 정도 높은 수준이다.
임시선박 지원 나섰지만, ‘백홀’ 화물 없어
해운·항공업계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려 노력하지만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우선 임시선박으로 수출 중소기업 지원에 나선 해운사도 부담이 적지 않다. 미주 항로 운임이 오르다 보니 미국 쪽 정기서비스는 이미 꽉 찬 상황이다. 임시선박을 투입하기 위해선 용선을 해야 하는데 현 시점에선 용선시장에서도 배를 구하기 쉽지 않다. HMM 관계자는 “그나마 화물이 덜 차 있는 호주와 서인도 노선을 빼와 수출 중소기업을 위한 임시선박으로 투입하기로 했다”며 “다만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 소속인 만큼 타 멤버사들에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임시선박은 백홀(돌아오는 구간)시 화물을 채우지 못한 채 돌아온다. 최근 운임 상승으로 호황기를 맞은 해운업계 입장에선 아쉬울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항공업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화물 전용기 23대를 비롯해 여객기 2대를 화물 전용기로 개조해 항공 화물시장 수요에 대응 중”이라며 “예약 스케줄에 맞춰 운송하려 노력 중이지만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선 중소벤처기업부는 HMM로부터 협조를 받아 4500∼5000TEU급 미주 노선 선박 2척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기부 산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현재 긴급한 선적 수요를 접수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등 총 21개 기관의 79개 서비스를 연계, 지난달부터 ‘수출입 물류 포털’(무역협회)을 통해 운송 스케줄을 조회하고 화물 추적, 창고 검색 등 물류 서비스를 통합 제공 중이다. 국토부는 유휴 여객기를 화물 운송에 활용하기 위해 좌석 제거 등 수리 개보 신청에 대해 절차를 거쳐 승인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해운업체가 운송계약을 위반할 경우 1000만원 이하 벌금 등 해운 법령상 벌칙을 엄격히 적용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러한 업계와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김태환 중소기업중앙회 국제통상부장은 “해운·항공업체들은 통상 물량이 많은 대기업에 우선 배정하고 남는 공간을 중소기업에 할애한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선박·항공기 수가 줄고 공간 역시 부족하면서 수출 중소기업은 운임 증가와 납기 지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며 “최대 규모 쇼핑행사인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 등을 앞두고 물류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업계가 나서 수출 중소기업을 위해 선박 내 일정 공간을 꾸준히 할애하는 등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오는 12일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열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출 디지털 전환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수출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비롯해 무역지원제도 전자화, 국내외 물류 지원시스템 확충 등을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