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시중은행을 비롯해 저축은행 등 2금융권 등에서 신규 PF 대출은 사실상 거의 끊긴 상태다.
일부 은행 등에서 PF 대출을 실시하고 있지만 신인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 대상으로 하거나 사업 리스크가 작은 소규모 사업장 위주다. 실제 KB금융(105560)그룹은 최근 산업은행과 5000억원 규모의 부채담보부증권(CDO)을 발행해 유동성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지만 대상은 현대건설·롯데건설사 등 1군 건설사 4~5곳이다.
현재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취급하는 PF 대출 보증의 경우 건설사의 문의는 있지만 대출 확약을 하기에는 어려운 국면이다. 경기 위축으로 PF 사업 안정성에 의문의 꼬리표가 달렸기 때문이다.
은행권이 아닌 제2금융권도 신규 PF에 참여하기엔 무리가 있는 형편이다. 한 저축은행 직원은 “저축은행은 PF 대출에 대한 한도가 있어 PF 사업들이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다음 단계로 진행돼야 자금을 회수해 이후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며 “지금은 기존 PF들이 진행되지 않고 있어 자금이 묶였기 때문에 신규 사업장에 대출을 내어주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부동산 PF에 따른 금융 불안 완화가 계속되자 금융당국은 지난 6일 유동성 공급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추가 대책을 내놨다. 다음달 중 PF 대주단 협약을 가동해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하겠다는 게 골자다.
대주단 협약은 기존 PF에만 적용돼 신규 PF에 직접 영향은 없지만 PF 사업의 선순환 물꼬를 트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다만 실제 얼마나 PF 정상화에 도움이 될지는 알 수 없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 가이드라인은 없지만 정부가 지시했으니 대주단이 모여 금리 동결이나 만기 연장 등에 대해 논의·합의를 이룰 전망”이라면서도 “만기 연장을 해도 금리를 높게 가져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대주단 입장에선 손해를 입을 수도 있고 정부가 보전해준다고 해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