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시나리오 측면에서 살펴보면 올 상반기엔 경제활동 재개로 그동안 억눌렸던 개인소비와 설비투자가 되살아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올해 1분기(1~3월)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연률 5.1%(평균)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해 12월 발표한 세계 각국 2022년 경제성장률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3.7%, 유로권은 4.3%, 일본은 3.4%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개인소비와 기업 설비투자가 상바기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한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소비가 줄어 현재 일본 가계에는 30조엔(약 310조 2000억원)의 과잉 저축이 쌓여 있다고 추산했다.
그동안 일본 정부가 재정을 풀어 경기를 지탱해온 덕분에 민간부문의 설비투자 역시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진단이다. 올해 설비투자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2021년보다 가속화해 4.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제조 부문에선 공급제약이 완화하며 자동차 등의 생산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됐다.
다만 이는 지난 해 저조한 성장세에 따른 반동, 즉 기저효과로, 하반기에 접어들면 둔화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4분기(10~12월)에는 성장률이 1.7%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코로나19 감염세 확산이 꼽혔다. SMBC 닛코 증권의 마루야마 요시마사와 닛세이 기초 연구소의 사이토 타로는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경기가 다시 침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았다.
이외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를 경우 금융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소니 파이낸셜 그룹의 오가와 마키 금융시장 조사 부장은 “연준이 금리 인상을 서두르겠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카삼증권의 스즈키 성 채권 시니어 전략가는 “금리 인상을 해도 장기 금리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 금리 지표가 되는 10년 미 국채 수익률은 1.9% 상승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도 2% 정도 전망이 평균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본격적인 성장궤도를 향해서는 생산성을 높이는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일본 종합연구소의 마츠무라 히데키는 “보다 높은 성장을 위해 디지털화·탄소 중립에 중점을 둔 성장 전략을 구체화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게 향후 정책 과제”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