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의원은 개선 과제로 제시한 것은 △아동입양체계의 공공성 강화 △아동학대 의료지원 공동 대응 체계 마련 △지역사회의 아동학대 협의체 구성 등 크게 세 가지다.
|
우선 신 의원은 “입양아동 매칭 시스템과 사후관리 체계를 제대로 점검하기 위해서는 민간기관의 역할로만 한정 지어서는 안 된다”며 아동입양체계의 공공성을 강화할 것을 주장했다. 국내 입양 현황과 실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비춰봤을 때 입양 전후 과정에 공공이 더 적극적으로 역할 해야 한다는 취지다. 16개월 입양아동이 양부모의 학대로 숨진 `정인이 사건`에서도 양모가 정신과 치료 이력이 있지만, 과연 양육에 적합한 상황이었는지 여부가 충분히 점검되지 못한 상황에서 결연이 이뤄졌다는 비판이 일었다.
아동학대 의료지원 공동 대응 체계 마련도 주요 과제라고 강조했다.
사전정보가 부족했던 일반 소아과 진료 결과 정인이의 상태가 구내염 등으로 보일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경찰로 연계되는 절차가 끊겨 버린 것이다. 아동학대 전문성을 가진 의료진이 진료를 했더라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다는 얘기다.
아동학대 의심 사례 발생 시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의료·법률 전문가, 아동보호전문요원, 경찰 등의 `지역사회 아동학대 협의체` 마련도 시급한 과제로 봤다.
신 의원은 “평소 아동학대 신호를 전문적으로 감지하고 발생했던 사례들을 꾸준히 관리하고 공유하는 게 중요하다”며 “그렇지 않으면 사건 발생 이후 관계자들끼리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 바쁜, 형식적인 업무 대응이 반복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