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북한의 지뢰도발 사건을 둘러싼 정부의 늑장·부실 대응, 엇박자 논란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거지자 춘추관에서 긴급 브리핑을 통해 이렇게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최초 보고는 4일 오전 7시30분 첫 사건 발생 이후 약 2시30분 흐른 오전 10시께 청와대 위기관리상황실을 통해 이뤄졌다. 당시 보고는 “DMZ 수색 작전 중 이상 폭발물로 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는 정도에 그쳤다. 두 번째는 이튿날인 5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것(지뢰)은 이상 폭발물이거나 유실물이 아닌 북한의 목함지뢰로 추정되며, 확실한 합동조사를 통해 대응책을 강구하겠다”는 내용으로 서면 보고하면서 이뤄졌다. 8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개최 이후 “북한이 매설한 목함지뢰가 맞다”는 보고가 이어졌고, 마지막 네 번째는 9일 NSC 상임위 회의에 따른 국방부의 향후 조치 계획 및 세부 결과 보고 등으로 이뤄졌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우리 군 당국의 경계실패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과 관련, 이 관계자는 “GP(전방감시초소)는 차단 목적보다는 조기에 경고하고 침투 흔적을 발견하는 목적”이라며 “적의 침투를 조기에 탐지·추적하는 DMZ 작전의 전반적인 주도권을 장악하는 감시 활동에 대해서는 보완, 보강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