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금융당국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주까지 전국 시도교육청 산하 초중고교와 가맹점 계약을 맺을 시중카드사를 물색했지만 이날까지 선정하지 못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카드사를 설득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카드사 반응이 시원찮은 이유는 사업구조 탓이다. 교육부는 교육비 수수료를 정액으로 가져가라는 입장이다. 결제 건수당 초교 100원, 중교 130원, 고교 150원이다. 카드사는 밑지는 장사라고 한다. 시장 규모가 크더라도 이렇게 받으면 손해라고 보고 있다. 중소 및 영세자영업자 수준 0.8~1.3%로 수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애타는 쪽은 교육부다. 수수료율 0%를 고수해오다가 대안으로 정액제를 제안했는데 먹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사업참가를 희망하는 카드사는 농협카드 정도로 알려졌다. 그나마 조건부다. 농협카드사 관계자는 “정률제와 정액제 모든 사업 형태를 두고 교육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면서도 “다만 단독으로는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 사업은 더디게 진행됐다. 카드사가 수수료 0%는 안 된다고 태도를 바꿨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입장을 뒤집고 정액제 수수료까지 제안했는데 반응마저 없는 상태다. 교육부는 농협카드를 포함해 복수 카드사를 사업체로 세우지 못하면 체면을 구길 수밖에 없는 처지다.
두 기관 네 탓 공방에 낀 카드업계는 난처하다. 교육비 사업납부 연기가 지속하면 성난 학부모의 화살이 카드 업계를 향할 수도 있다. 시중 카드 관계자는 “적자 사업구조 틀 안에서 누가 먼저 접수해야 하는지 눈치 보는 상황”이라고 했다. 카드사 수익구조 악화를 우려하는 금융당국의 시각이 이해는 가지만 “고양이 쥐 생각”이라는 반응도 있다. 일반 가맹점 수수료 인하 당시는 이런 걱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교육비(학부모 부담금 등) 시장은 2016년 기준 5조9850억원이다. 카드사는 6조원을 중개하고 수수료를 챙길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지난해 기준 전국 초중고교 1만11526곳 소속 학생, 학부모, 교직원을 각각 고객으로 삼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