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한국이 주재한 다자 외교무대 중 최대 규모다. 한국이 대(對) 아프리카 외교를 위해 주최한 첫 다자 정상회의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 기간 양자회담 등을 통해 조약·협정 12건을 체결하고 양해각서(MOU) 34건에 서명하는 성과도 냈다.
“韓기업의 아프리카 자원 개발 기회 중요”
반도체·배터리 등 미래산업에서 핵심광물이 점점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대(對) 아프리카 외교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는 전 세계 광물의 30%가 매장된 자원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특히 코발트와 백금족은 각각 매장량의 70%, 90%가 아프리카에 집중돼 있다. 아프리카 자원 부국과 협력을 강화하면 국제 광물 시장을 장악한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탄자니아 등과도 양자간 핵심광물 공급망 MOU를 체결했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광물 외에도 경제동반자협정(EPA)·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이중과세방지 협정(DTAA)·투자보장협정(IPA) 등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무역·투자·공급망 등 포괄적 경제협력을 위한 이들 협정이 체결되면 인구 14억 명에 이르는 아프리카 시장에 한국 기업이 더 원활하게 진출할 수 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우리 정부는 한·아프리카 협력 강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100억달러(약 13조 7000억 원 )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ODA 총액(약 31억 3000만 달러·약 4조 3000억 원)보다 세 배 늘어난 규모다. 한국 기업의 대아프리카 무역·투자를 돕기 위한 140억 달러(약 19조 2000억원) 규모 수출금융도 지원한다.
이번 정상회의에선 미사일 발사·오물풍선 등 북한의 도발 문제도 의제로 올랐다. 윤 대통령을 비롯한 정상들은 북한을 겨냥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한반도 비핵화(CVID)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