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업무보고에서 취학연령 하향 방안을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2025년부터 7세 어린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초·중·고등학교를 6-3-3제로 운영하는 틀은 유지하되 입학하는 시기만 조정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의 계획 발표 후 학부모들의 반발이 거셌다. 이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박 부총리에게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일이 없도록 학부모님 등 교육 수요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해 관련 정책에 충실히 반영하라”고 주문했다.
안 수석은 이런 여론을 의식한 듯 학제개편안과 관련해 ‘공론화’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취학연령 하향 조정 문제는 이런 정책방향성 속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다”며 “다른 개혁 과제와 직간접적으로 엮여 있어 뭉친 실타래를 동시에 풀 대안이 될 순 있지만 그 자체로 목표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수석은 “공론화 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우려에 관해 정책적 해결방안을 찾게 노력하는 것도 교육부의 몫”이라며 “개혁 방안에 관한 문제의식은 있지만 정해진 답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 철회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공론화 이후 백지화할 가능성도 있느냐’는 질문에 “아무리 좋은 개혁·정책의 내용이라도 국민의 뜻을 거스르고 갈 수는 없을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다만 정부가 앞장서서 개혁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안 수석은 “정부가 밀어붙이면 백전백패이기 때문에 촉진자 역할을 하면서 공론화의 장을 만들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논의의 장을 만들고 거기서 결론을 내리면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지난 대선 과정에서 후보들이 연금개혁을 약속했다며 “구조적 연금개혁을 향한 첫 걸음을 뗄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결국 정부의 연금개혁은 모수개혁에 더 집중하는 모양새를 갖췄다. 안 수석은 “모수개혁은 법적으로 5년마다 하게 돼 있는데 지난 정부에서 못해 저희가 복지부가 중심을 잡고 서둘러서 준비하고 있다”며 “구조개혁은 전문가들이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수개혁의 방향성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안 수석은 대선 과정에서 ‘안철수 후보가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간다고 명확하게 했다’는 지적에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인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세대간 공정하게끔 부담을 재설정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며 “그 방향성을 견지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