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교수는 “과거와 다르게 점차 고령층으로 진입하는 인구가 교육수준 뿐 아니라 좋은 여건에서 태아기와 유아기를 보내 인적자본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른 조건이 같을 경우 고학력화는 노동인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인구변화 대응을 위한 방안에 대해 시나리오별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여성의 경력단절이 제거돼 30~44세 경제활동참가율이 25~29세와 동일해지는 시나리오에서 2045년 인력규모는 2020년 수준의 약 89%로 기존보다 1%포인트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활률이 일본 수준으로 높아질 경우 약 3.5%포인트로 크게 올랐다.
장년의 경우에도 조기퇴직이 줄어든다고 가정할 경우 노동투입이 2.5%포인트 높아졌다. 장년 경활률이 일본 수준으로 높아지게 되면 여성과 비슷하게 3.5%포인트 인력규모가 상승했다. 이 교수는 “여성과 장년의 경활률과 생산성이 높아지고 청년의 경활률이 제고될 경우 2045년까지 노동투입이 줄어들지 않고 현재의 106% 수준까지 높아지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향후 10여년간 인구변화로 잠재성장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크지 않은 만큼, 단기적인 정책보다는 장기적인 생산력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이 교수는 “생산연령인구가 지금부터 빠르게 줄어드는 것만 보고 급격하게 중년 고용을 늘리는 등 바로 노동투입을 높이는 방안은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고령인구 빈곤 해결, 여성 고용 확대 등 정책 우선순위를 두고 다른 정책목표와 부합되는 방안을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여성 노동공급의 경우 양적인 것만 보지 말고 노동조건 개선과 일·생활 균형 강화, 양성평등 강화 등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당면한 불리함을 완화한다면 장기적으로 노동투입을 늘리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고용 연장의 경우 현재로서는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좋은 전략은 아니다”라며 “인구 변화 추이나 노동시장 여건을 감안해 5~6년 후 청년 노동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할 때 점진적으로 추진하는 편이 부작용이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