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
|
[이데일리 전재욱 박종오 기자] 잇따른 정부 대책에도 가상화폐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해 6월 22일 금융감독원이 가상화폐 투자 경계령을 발령한후 범 정부 차원에서 연이어 7번째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은 되레 활활 타오르고 있다. 8일에도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긴급 브리핑을 열어 시장은행의 가상화폐와 투자와 관련 자금세탁 방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가상계좌 서비스에 대한 영업을 중단시키는 등 모든 법적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지만 ‘약발’이 먹히지 않는 모양새다. 정부의 강력한 시장경고는 오히려 가상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시키기 위한 ‘수순밟기’ 아니냐는 시장의 해석마저 나오고 있다.
이날 최 위원장의 엄포성 발언을 비웃듯 비트코인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1비트코인 당 2425만2000원에 거래되다가 1시간이 지난 오후 3시 70만3000원(2.89%) 오른 2495만5000원에 사고 팔렸다. 또 다른 가상화폐 리플도 같은 시간 4174원에서 4182원으로 소폭 상승하는 등 규제책을 발표할 때마다 가상화폐 가격은 뛰어올랐다. 앞선 규제 방안 발표 때도 비슷한 시장 상황은 연출됐다. 지난해 11월28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가상화폐는 투기”라고 언급하자 1비트코인 가격은 1158만9000원으로 뛰어올랐고 12월11일 청와대가 “가상화폐 불법행위 엄정 관리”를 발표했을 때도 1882만원으로 올랐다.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검토’ 대책이 나온 12월28일 1959만7000원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올 들어 지난 6일에는 한 때 2880만원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정부의 규제안이 되레 가상화폐 열기를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규제가 오히려 가상화폐에 매력을 느끼도록 하고 있고 조건부 허용 등으로 제도권 편입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의 암호화폐 불법화는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힘들다”며 “암호화폐의 희소성을 높이고 도피 수요를 만들어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