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과 관련해 전 세계적 경제 전망이 하향 기조인 점과 수출·투자 부문 약화를 근거로 들었다.
| 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제56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초청 국제 콘퍼런스에서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 등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킴 엥 탄 S&P 상무는 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국제금융센터 국제컨퍼런스패널토론에서 “0.3%포인트 조정은 크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S&P는 전날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1.1%로 제시하며, 지난해(1.4%)보다 하향조정했다.
킴 상무는 “하향조정 이유는 글로벌 경제성장 전망이 악화된 것과, 한국 수출이 이전보다 더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며 “수출에 대한 투자도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고금리 상황에서의 경제성장을 저하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국가부채는 여타 국가에 비해 매우 양호한 수준이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낮다고 부연했다.
고금리 시대 ‘신용 리스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날 패널토론에 참석한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04~2006년 미국이 금리를 1%에서 5.25%까지 올렸다”며 “그로부터 1년 2개월 뒤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약학고리를 점검해야할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금리 인상 말미라는 시점을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은행권에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같은 은행권 불안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베라 채플린 S&P 전무는 “상위 60개 아태 지역 은행을 조사한 결과 유동성 수준이 적절했다”며 “가계·개인들이 가진 예금 비중이 전체 금융권의 예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S&P가 시스템적인 자금조달 환경에 대해 18개국을 평가한 결과, 10개국에서 위험이 낮거나(L) 매우 낮은(VL)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낮음(L) 등급을 보였다.
하지만 그는 당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라는 당부의 말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