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이번 글래스고 합의에서는 탈석탄과 화석연료 보조금 철폐가 기후변화 논의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국의 석탄발전 폐지를 비롯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이행으로 이슈가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미영 외교부 심의관은 18일 성북구 고려대 국제관에서 한국기후변화학회가 주최한 ‘제26차 당사국 총회 결과와 향후 전망’을 주제로한 세미나에 참석해 “탈석탄, 탈석유·가스, 화석연료 보조금 철폐가 기후변화 논의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졌다”며 “국내적으로 어떻게 (화석연료를) 감축해 나가야할지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COP26은 파리협약 세부이행계획이 6년만에 모두 완결됨에 따라 각 나라의 세부 이행 과정으로 관점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COP26의 의의에 대해 그는 “파리협정 6조의 타결로 2015년 파리협정 이후 본격적 체제 이행체제에 들어갔다는 것과 미국이 기후위기 대응 리더십을 회복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한국 정부는 앞으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40% 감축하기로 한 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이행하는 것과 더불어 국제탄소시장의 참여를 준비해 나가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손인성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파리협약 이행규칙이 6년만에 완성됨에 따라 구체적 이행이 필요한 단계라고 지적했다.
그는 “파리협약 이후 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에 대한 매커니즘은 잘 작동했다고 보이나 실제 이행에 대해서는 아직 지켜봐야한다”며 “앞으로 화석연료 비중을 낮추기 위한 국가 대응 전략의 수립이 필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