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위원은 급격히 증가한 인류가 농경지 확보를 위해 300년간 산림훼손을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식량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26%로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며 “세계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했기 때문에 많은 농경지가 필요하게 됐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온실가스를 크게 촉발시켰다”고 말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의 파괴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는 “아마존은 지구 유기물 10%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지만 1985년부터 농경지를 만들기 위해 활용됐고 현재 아마존의 20%가 파괴됐다”며 “이제 아마존은 탄소흡수원이라기보다 배출원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농업생산을 위해 사용한 비료와 농약이 토양 회복력을 저하시켰고 생물다양성의 급격한 감소를 일으켰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 연구위원은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생물다양성의 감소로 사라진 것이 꿀벌”이라며 “꿀벌이 사라지면 식물의 수정이 불가능하고 식물이 사라지면 인간도 살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세계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식량 소비가 늘어나야 하지만 농경지를 확대하거나 농약을 더 많이 투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농업기술은 지금보다 훨씬 더 정밀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파밍, 드론, 인공위성, 인공지능(AI), 바이오텍, 수직농장 등 어떤 기술을 사용하든지 투입재를 낮추고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농업기술이 정밀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전 세계에서 생산하는 농작물 30%가 생산유통소비과정에 버려진다. 이를 줄이고 수산 식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또 생태환경복원기술을 발전시켜야 하며 유전자변형작물, 대체육 등 새로운 식량 등을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