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은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인근 국가의 지하철 사고를 가정하며 정책의 비현실성을 지적했다. 김 회장은 “사실 통계로 보면 원자력발전소로 인해 생겨난 사망자나 암환자는 구소비에트연방(소련)의 사고를 제외하면 없을 정도로 비행기, 자동차 심지어 자전거보다도 안전하다”며 “신재생에너지는 방향은 맞지만 원자력을 금방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는데 에너지 산업 정책을 비현실적인 추정과 희망으로 왜곡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전환정책이 확실한 현실의 과학을 무시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을 줄이면 전력단가가 올라갈 수 밖에 없는데다 신재생에너지에 적합치 않은 자연환경을 가진 우리나라에 태양광 패널과 풍력발전기 설치를 하면 이에 따른 자연환경 피해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원자력을 줄이고 신재생을 늘릴수록 가스 발전이 더 늘어나 사실상 가스 우선 에너지 정책이 돼 버린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정책 기조에 맞춰 해체와 안전 위주의 원전 연구·개발(R&D)에 나서면서 동시에 원전 수출을 꾀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김 회장은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김 회장은 “요즘 건설하는 신규 원전은 최소 60년 길게는 80년 이상 운전이 가능하고 자연스레 원전 구매를 희망하는 나라들은 공급자가 건설 후 최소 60년 이상 핵연료를 공급하고 운영 기술이나 인력 지원을 해 주기를 원한다”며 “탈원전 기조로 돌아선 나라에서는 이런 지원을 기대할 미래가 없다고 보므로 수출 파트너로 삼지 않을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예상했다. 이어 “이미 외국에서 경험이 풍부한 원전 해체 R&D는 누가 더 안전하게, 더 빨리, 더 싸게 해체 및 환경 복원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엔지니어링 기술로 단순 노동에 의존하는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 산업”이라며 “블루오션인 것은 맞지만 얻을 게 없는 산업인데 정부가 탈원전을 무마하고 회유하려고 만든 허상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원전 위험성에 대한 국민들의 공포에 대해서도 “허무맹랑한 공상영화에 의해 조성된 불필요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원전의 안전성은 점보제트기가 날아와 부딪히는 상황까지 별의 별 상황을 다 고려해 설계해, 설계 면에서는 최고로 안전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도 방사선으로 인한 사상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인력 이탈 가능성과 관련 김 회장은 “정부 에너지전환정책으로 아마 내년부터 연구 현장이나 대학들에서 심각한 인력 이탈이 시작될 것”이라며 “그 여파는 가동 중인 원전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경고했다.
김 회장은 정부 정책에 대응하는 학회의 역할에 대해 “현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 추진은 일방적인 소통부재 행정”이라며 “우리는 국민의 원자력에 대한 오해들을 풀기 위한 소통에 최선을 다하고 문제 발생 시 즉각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