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지배구조 공시 의무화 이유는
한국거래소는 지난 3월부터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comply or explain`(컴플라이 오어 익스플레인·원칙준수 예외설명) 방식의 지배구조 공시제도를 도입했다. 컴플라이 오어 익스플레인 방식이란 한국거래소가 제시한 핵심원칙 10개 항목을 준수했는지 여부에 답을 하고 만약 준수하지 못한 항목이 있다면 그 이유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005930)를 포함한 상장법인 70개사가 올해 처음으로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자율적으로 공시했다.
하지만 이는 코스피 상장사 784개 중 극히 일부인 9.36%로 참여율이 낮은 편이다. 일본이 도입 첫 해 참여율 약 76%(1934개사 중 1476개사)를 기록한 것과 비교되는 움직임이다. 뿐만 아니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기업지배구조 현황 조사 결과 조사대상 46개 국가 가운데 기업이 기업지배구조 규범을 의무 준수하거나 그 여부를 공시하고 있지 않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외국계 장기 투자 이끌수 있을 것”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방침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글로벌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2017 회계개혁 IR 행사’ 비공개 회의에 참석한 아다시 신하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 아시아 외환전략부문 공동대표는 “구체적인 사안이 더 나와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기업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 금융당국의 노력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환영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또 지배구조 공시가 의무화된다면 외국계 장기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는 “일반적으로 배당주펀드는 앞으로도 배당수익률이 높게 유지될 지배구조가 튼튼한 기업을 편입할 수밖에 없다”며 “기업 지배구조가 좋아지게 되면 결국 외국계 투자자들의 장기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배당수익률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후에 스튜어드십(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 지침) 코드를 도입하는 것이 세계적인 흐름”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기업이 주주 눈치를 볼 수밖에 없고 이를 통해 한국 증시 디스카운트 요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