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현장 연구자들과 취재 기자들에서는 ‘과정’이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우주는 과학기술에서도 장기적이고 신중히 접근해야 하는 분야인데, 이번 로드맵 발표 과정에서 현장과의 충분한 소통과 의견수렴이 이뤄지지 않아서다. 발표 시기와 장소를 놓고도 뒷말이 무성한 상황이다.
하지만 로드맵 수립 절차와 과정들이 충분히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우주 전문가들이 참여해도 정부가 원하는 흐름에 맞서기 어려웠다는 한계도 있다.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을 대통령이 맡게 되면서 위상이 강화됐지만, 우주항공청이 과기정통부 외청 구조에 프로젝트 중심으로 구성되며 미국의 ‘아폴로 프로그램’이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처럼 전략적인 사고를 갖고 접근할 수 없어 기존 사업·개발의 한계를 여전히 답습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에 따르면 향후 5년은 우주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로 중요하다. 아르테미스 1호의 유인우주선이 아폴로 13호의 기록을 깨고 나아가고 있고, 민간 기업들이 달을 중심으로 한 우주경제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앞서 미국과 달정거장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국도 우주개발에 독자적으로 나서면서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래세대에게 달의 자원과 화성의 터전을 선물하겠다”고 한 대통령의 의지처럼 이번 사례를 반복하지 않고 소통과 개방에 힘썼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