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증후군은 건물에 들어갔을 때 눈, 코, 목이 따갑거나, 두통 등 여러 병적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증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특히 환경요인 중 실내공기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서울시내 9개 지하도상가 시설 내 음식점업(식당, 카페, 제과점), 의류업(옷, 수선, 침구류관련 업종), 패션·잡화업(신발, 가방, 액세서리관련 업종), 기타(사무실, 전자제품, 화장품점 등)에 근무하는 314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에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다.
조사항목은 상점에서 일하는 동안 빌딩증후군(피부, 눈 자극, 호흡기, 신경계) 증상과 7가지 실내공기질 인지(퀴퀴한 냄새, 불쾌한 냄새, 자극적인 냄새, 곰팡이 냄새, 담배 냄새, 건조함, 습함)에 대해 ‘최근 1개월 동안 경험여부’ 였으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하도상가 종사자들의 실내공기질 인지에 따른 빌딩증후군 증상 및 업종과의 관계를 평가했다.
지하도상가 상점 종사자의 실내공기질 인지와 업종과의 관계 평가에서는 퀴퀴한 냄새, 불쾌한 냄새, 곰팡이 냄새, 건조함의 경험은 음식점업 보다 의류업 및 패션·잡화업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실내공기질 인지 지표를 점수화하여 평가했을 때 실내공기질 인지 점수의 교차비는 음식점업보다 의류업의 경우 2.92배(95% 신뢰구간=1.33-6.38), 패션·잡화업의 경우 3.25배(95% 신뢰구간=1.37-7.71) 높게 나타났다. 특히, 패션·잡화업 종사자가 의류업 종사자보다 실내공기질 인지의 교차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국외 연구 사례에 의하면 지하도 쇼핑센터에서 가죽제품을 판매하는 구역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한 결과 자극적인 냄새를 가진 1급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아울러 가죽제품에는 폼알데하이드 기반 접착제 등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연구진은 종사자의 냄새와 습도 인지에 영향주었을 것으로 봤다.
연구책임자인 김규상 실장은 “지하도상가 시설의 상점 내 종사자들의 자각적인 증상은 냄새, 습도 인지와의 관련이 있음을 확인한 중요한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이 연구를 수행한 김정훈 박사는 “국내 실내공기질관리법에 의하면 지하도상가 시설 내 사람들이 다니는 통로에서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게 되어있어 주로 일반 대중의 건강을 보호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상점 내에서 공기질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객관적인 방법으로 상점단위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