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의 기술수출은 총 12건이다. 지난해 연간 기술수출 건수 17건의 70.6%에 해당한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지난해 5건에서 2배 이상 늘었다. 각 기업이 공개한 수치를 바탕으로 한 전체 계약 규모는 6조2587억원이다. 계약 액수를 공개하지 않은 LG화학, 이노엔의 계약금액을 빼고도 지난해 실적(10조1452억원)의 61.7%를 상반기에 달성했다.
대웅제약의 행보도 두드러졌다.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신약인 ‘펙수프라잔’에 대한 기술수출을 2건 성사시켰다. 지난 3월 중국 상하이하이니에 3800억원 규모, 이달 미국 뉴로가스트릭스에 48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을 했다.
대형제약사들이 큰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성공하기는 했지만, 바이오 벤처들의 선전도 꾸준했다. 지난해는 17건 중 12건이, 올해는 12건 중 7건이 바이오 벤처들의 성과였다. 특히 펩트론은 중국 치루제약에 표적항암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PAb001-ADC’을 기술수출하며 첫 기술수출 성과를 내놨다. 치루제약은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중 43위를 기록한 빅파마다. 이후 계약금 중 선급금을 수령하며 안정적인 기술수출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체의 기술수출 실적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8년 5조6981억원, 2019년 8조3764억원, 2020년 10조1452억원 등이다. 올해도 지난해 성적을 가뿐하게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최근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한 삼성제약의 췌장암 면역치료제 리아백스, 임상 2상 결과를 내놓은 셀리드의 자궁경부암 면역치료 백신(BVAC-C)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상반기부터 지난해 상반기를 웃도는 기술수출 성과가 이어지고 있어 연간으로는 10조원 중반대 기술수출 성과도 기대해볼 만하다”면서 “반환의무가 없는 선계약금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점은 협상을 하면서 해결해야할 부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