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급은 그대론데 물가는 급등 ‘실질임금↓’…美정부·연준 “일시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연준과 바이든 행정부는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정책적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고 말해 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지원책은 단기적으로 경제적 불평들을 확대시킬 수 있다. ‘물가’가 ‘월급’보다 더 빨리 오르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4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4.2% 상승했다. 반면 생산직 및 비 관리자 계층의 시급은 1.2% 오르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 임금은 3.3% 하락했다. WSJ은 이에 대해 “1980년 인플레이션 충격 및 이에 따른 경기침체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의 인플레이션은 경기부양에 초점을 맞춘 연준과 바이든 정부의 재정·통화 정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목격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현재의 제로 수준 금리와 자산매입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재러드 번스타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은 “경제가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분야의 수요 급증에 따른 일시적 인플레이션”이라며 연준과 같은 입장을 내놨다. 나아가 “우리는 아직 직장을 찾지 못한 근로자들을 위해 일자리와 소득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또 근로자가 고용주와 인플레이션을 웃도는 임금으로 협상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
그러나 일부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역진세(逆進稅·regressive tax)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서 연준의 판단이 틀렸을 경우, 즉 추세적 현상일 경우 저소득 노동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가격의 식료품을 구매할 때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이 똑같은 세금을 내게 되는데, 저소득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되는 셈이라는 설명이다.
또 막대한 유동성 공급에 따른 자산가격 상승은 고소득층에게만 이득이 된다는 지적이다. ‘불평등의 엔진’(Engine of Inequality)의 저자이자 재무분석가인 캐런 페트로우는 “연준의 지난 10여년 간 저금리 정책은 주가 상승을 통해 부유층의 자산 증식을 도왔다. 그 효과는 최근 가속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경제적 불평등 관점에서 보면 좋은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WSJ은 실질 임금이 전년 동월대비 3.3% 하락하는 동안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0% 이상 상승했는데, 연준 자료를 보면 미 부유층 가정 약 10%가 전체 주식의 88.5 %를 소유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현재와 같은 실질 임금 하락 추세가 지속되면 불평등 완화를 지향하는 바이든 정부의 목표에 위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