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GPT-4의 ‘테크니컬 리포트’를 보면, 각 언어별 평가 점수에서 한국어(77%)는 하위권이다. 하지만 이전 모델인 GPT-3.5의 영어 성능(70.1%)을 넘어섰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한국어뿐 아니라 상당수의 다른 국가 언어들도 GPT 3.5의 영어 수준을 넘어섰다.
실제로 기자가 GPT-4가 적용된 챗GPT 유료 버전(챗GPT 플러스)을 잠깐 사용해본 결과, 아직은 완벽하진 않지만 기존 챗GPT보다 한국어를 훨씬 더 잘 다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
남세동 보이저엑스 대표는 페이스북에 “앞으로도 미국 회사들이 만든 언어모델의 한국어와 영어 수준 차이는 대략 1년 미만을 유지할 것”이라며 “한국어에 집중한 언어모델이 더 이상 승산이 없어 보인다”고 적었다.
안성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실 실장도 “국내 기업의 언어모델은 국내 정보에 대한 정확성이나 최신성 측면에서 약간의 우위에 있을 수 있다”며 “정부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방변으로 전략적 지원을 구상 중”이라고 했다.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AI테크 이사도 “GPT 계열은 어느 한 회사가 독점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개발 회사마다 기준과 철학, 개발 방법이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고객과 시장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학습 데이터, 튜닝 기법 등에 따라 특색있는 GPT 모델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GPT-4를 공개한 오픈AI는 이를 챗GPT 유료 버전에 적용하며 곧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기업들도 앱이나 서비스에 GPT-4를 쓸 수 있도록 API 신청을 받고 있다. 에듀테크 기업 스픽 등 오픈AI의 ‘스타트업 펀드’에 참여한 기업들은 미리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 GPT4가 공개되자마자 적용 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