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바람 부는 한반도, 10.4 정상선언 기존 합의만 이행해도 남북관계 급진전
한반도는 봄바람이 불고 있다. 남측 예술단의 성공적인 평양공연에 이어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남북의 실무준비도 분주하다. 2000년과 2007년에 이어 11년 만에 남북정상의 만남이 성사되면서 세계의 이목이 한반도에 쏠리고 있다. 지난해만 해도 국제사회 최대 골칫거리였던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의 해법을 마련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남북정상회담의 의제는 크게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다. 남북관계 개선은 상대적으로 순항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의지가 확고하기 때문이다. 특히 올림픽을 전후로 남북은 그동안의 불신을 딛고 적잖은 신뢰를 쌓았다.
최대 난제 ‘비핵화’ 문제…의미있는 진전 있어야 북미정상회담 성공 전망
다만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경제협력 문제는 당장 성과를 내기 힘들 전망이다. 특히 남북경협의 상징인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사업의 재개 여부 또한 쉽지 않다. 지난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유엔 안보리는 물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한층 강화됐다.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유엔 제재가 거의 끝까지 가 있다. 남북간 합의만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경협 분야를 논의하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에는 경제파트를 총괄하는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제외돼 있다.
북한 핵문제의 종착역은 북미정상회담이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통큰 합의가 가능하도록 사전 정지작업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스타일에 따라서는 첫 만남에서 파격합의도 가능하다. 전제는 남북정상회담에서 의미있는 시그널이다. 북측은 지난달 초 대북특사단 방북 당시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세계적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비핵화’ 의지를 공식 천명할 경우 상황은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 남북·북미정상회담의 성공에 이어 남북미 또는 남북중미 연쇄 정상회담의 성사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은 급물살을 탈 수 있다. 다만 단계적 비핵화에 따른 보상수준을 놓고 북미의 줄다리기가 이어질 경우 상황은 제로베이스에서 출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