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전세계에서 확대하는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국면에서 일부 품목 가격 부담 완화 정도로는 체감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고물가에 대응한 긴축적인 통화정책과 함께 부가가치세 감면 확대 등 추가 정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수입원가 낮추고 개소세 깎고 보유세도 완화
정부가 30일 발표한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는 △생활·밥상물가 안정 △생계비 부담 경감 △중산·서민 주거 안정으로 구성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주요국의 수출 제한 등으로 공급망 교란이 발생하고 국제 식량가격이 오르자 우선 수입 원가와 식료품비·식재료비 절감에 나선다.
최근 가격 상승폭이 큰 식용유·돼지고기 등 식품원료 7종과 나프타 등 산업원자재 7개에는 0%의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커피·코코아원두 수입시 부가세를 한시 면제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돼지고기의 경우 원가가 최대 20% 인하되고 커피원두 원가는 9.1% 인하 효과가 있을 걸로 정부는 추산했다.
밀 수입 차질 우려에 대응해 밀가루는 가격 상승분 70%를 정부가 지원하고 제분업계가 20%를 부담한다. 면세농산물 공제 한도는 일시 10%포인트 상향해 식품제조업·외식업계의 식재료비 부담을 낮춰 가공식품·외식가격 상승을 방지코자 했다.
고금리·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은 저금리·고정금리로 대환을 지원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2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를 1학기 수준으로 동결하는 등 금리 상승기 서민들의 이자 부담도 낮춘다.
소비 여력이 낮은 취약계층에 대한 직접 지원도 늘린다. 저소득층 227만가구에는 4인가구 기준 100만원의 긴급생활지원금을 주고 저소득가구 대상 17만원 가량의 에너지바우처도 지급키로 했다.
이번 대책에는 1세대 1주택자 보유세 완화와 일시적 2주택자 취득세·양도소득세 중과 배제 등 부동산 세제 완화 방안도 담겼다. 이와 관련해 윤인대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업무 대행)은 지난 27일 사전 브리핑에서 “대책 상당 부분이 1가구 1주택에 해당돼 (민생 안정 대책 대상인) 서민·중산층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세제 완화로) 다주택자들이 집을 내놓으면 주택시장이 안정돼 전반적인 서민·중산층도 혜택을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가 상승폭 가팔라…정부 “시리즈 대책 발표”
할당관세, 부가세 면제, 직접 지원 등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는 대부분 썼지만 문제는 물가 상승세가 워낙 가파르다는 점이다.
5월부터는 5%대 소비자물가 상승폭에 대한 관측도 나오고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7일 기자들과 만나 물가 전망과 관련해 “일정 기간 5% 넘는 숫자를 여러 형태로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앞서 26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물가상승률은 당분간 5% 이상 높아지고 상당한 경우 내년 초에도 4%, 3%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월간 물가 상승폭이 5%를 넘는다면 2008년 9월(5.1%) 이후 처음이다.
특히 물가 상승폭은 실생활과 밀접한 부문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4월 품목별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을 보면 등유와 경유가 각각 55.4%, 42.4% 급등했고 수입쇠고기(28.8%), 수박(28.3%), 식용유(22.0%), 과일가공품(19.4%) 등이 크게 올랐다. 체감 물가인 생활물가지수는 2008년 8월(6.6%) 이후 가장 높은 5.7%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에 부가세 인하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부가세 면제 대상 품목이 너무 적다”며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소비자들이 자주 접하는 공산품 등 광범위한 품목에 대해 부가세를 과감하게 낮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당분간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추가 대책 발표 여지도 남아있다. 윤 국장은 “급하면 급한대로 모아놓지 않고 계속해서 시리즈로 대책을 발표해나갈 생각”이라며 “유류비 부담이 더 커지거나 하면 추가 대책을 계속 강구하고 (할당관세 확대도) 상황을 봐서 (필요하다면)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