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정작 여당 시절이던 문재인 정부 때는 국회의 예산 심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만큼 윤석열 정부를 견제하기 위한 무리한 입법 시도보단 현행 법의 틀 내에서 예산 심의를 충실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이데일리가 앞선 문재인 정부에서 예산을 편성했던 지난 5년(2018~2022년) 간 국회가 확정한 예산안을 집계한 결과, 정부안과 비교해 오히려 3조2000억원의 예산이 증액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는 올바른 재정 집행을 위해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을 심의해 감액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그런데도 지난 5년 간 정부안을 줄이기는 커녕 오히려 정부에게 요청해 예산을 더 늘린 셈이다.
반면 보수정부였던 이전 5년인 2013~2017년에는 국회에서 정부 예산안대비 총 3조5000억원을 깎았다. 코로나19 위기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이와 관련해 7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해 133조원을 따로 지출한 바 있다.
개정안대로 예결위가 상설화되면 정부가 예산을 편성하는 초기부터 심의 과정에 참여하게 되고 이는 결국 국회의 예산 간섭과 증액 요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금도 법으로 정하고 있는 국회의 예산 심의에 더 주력하고 오히려 지역구를 둔 국회의원들이 요구하는 이른바 `쪽지 예산` 등 선심성 예산 집행을 줄이는 게 우선이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국회예산정책처장을 역임했던 김준기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지금도 국회의 예산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입법을 통해) 더 많은 기능을 국회에 부여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전제한 뒤 “그럴 경우 예산 편성과정에서 (쪽지예산 요구 등) 정치화가 더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