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위가 발표한 ‘초대형 투자은행(IB) 육성을 위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개선방안’에 따르면 우선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종투사는 자기자본의 200% 한도에서 어음 발행을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이를 기업 대출(신용공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증권사의 어음 발행액은 레버리지 비율 산정에서도 제외된다. 또 기업을 상대로 한 외국환업무가 허용된다. 8조원이 넘으면 종합투자계좌(IMA) 영업을 통해 일반 고객에게서 자금을 끌어모아 기업 대출에 쓸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자기자본 수준별로 영위할 수 있는 사업과 인센티브가 차등화됨에 따라 증자나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증권사들의 덩치 키우기 경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3조원 이상 구간에 해당하는 증권사들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대형 증권사들의 덩치 키우기 경쟁으로 현재 매물로 나온 하이투자증권이 수혜를 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3조원 초중반대의 자기자본을 갖춘 증권사들이 자기자본 7000억원대의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하면 바로 4조원대 증권사로 발돋움할 수 있는 만큼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빠르게 자기자본을 키우고 있는 메리츠종금증권도 인수 후보군으로 꼽힌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지난해 유상증자와 아이엠투자증권 인수 등을 통해 자기자본을 1조7000억원 정도로 끌어올려 놓은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제 하이투자증권은 자기자본 관점에서만 접근해도 달리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증권사들이 단순히 몸집을 불리는 것에만 치중에선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최순영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권사들이 수익 창출을 위해 자본금 확대에 나서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경쟁력있는 사업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현재 증권사에 대형화보다 중요한 것은 사업모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