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답방을 전제로 본격적인 준비에 접어들었다. 정확한 답방 시기와 일정은 극비사항이다. 다만 경호·의전·보도 준비와 관련해 미확인 관측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답방 임박설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최근에는 청와대나 통일·외교·안보 부처 고위 인사들이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비해 외부약속을 줄줄이 취소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金답방 12월 18∼20일 2박3일행 유력설…靑 부인 속 “여러 시나리오 마련해놓고 준비 중”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로는 12월 18∼20일 2박 3일행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평양방문 이후 꼭 3개월만이다. 청와대는 부인했지만 김 위원장의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7일 이후 답방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전망이 맞다면 남은 준비기간은 불과 열흘이다. 해방 이후 분단과 전쟁으로 이어진 한국현대사에서 북한 최고 지도자의 첫 대한민국 방문은 세계적인 빅이벤트다. 연내 답방이 아니라 내년 초로 연기된다 해도 물리적인 준비 시간이 촉박하다.
北 최고지도자 첫 방문에 경호 최대 난제…남산타워 관람·한라산 방문 현실화될까?
가장 신경 쓰이는 대목은 경호와 안전 문제다. 지난 9월 문 대통령의 평양방문은 폐쇄적인 북한 사회의 특성 탓에 경호·의전에서 큰 어려움이 없었다. 반대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은 난제가 적지 않다. 당장 보수층의 답방 반대 시위가 부담이 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지난 2일 기내간담회에서 “북한에서 가장 신경을 쓸 부분이 경호라든지 안전의 문제”라면서 “우리가 철저하게 보장을 해야 한다. 경호나 안전 보장을 위해 교통 등 불편이 초래되는 부분이 있다면 국민들께서 조금 양해해 주셔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김정은 서울답방 나비효과? ‘교착국면’ 북미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될까?
김 위원장의 답방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이행하는 것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키지 못한 ‘남한 답방’ 약속을 뒤늦게 실천하는 것. 특히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가 매력적인 이벤트다. 핵미사일 개발에 주력한 불량국가 이미지를 벗고 국제사회에 정상국가의 일원으로 데뷔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은 “김위원장의 답방이 이뤄진다면 그 자체로서 세계평화 메시지와 비핵화·남북관계 발전 의지를 다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 중요한 건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가져올 나비효과다. 지난 6월 제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온 북미간 비핵화 협상의 극적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서울답방을 계기로 김 위원장이 ‘영변핵시설의 사찰·검증 수용’이라는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중요한 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하고 더 큰 진전을 이루게 하는 것”이라면서 “이어질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보다 큰 폭의 비핵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촉진·중재·설득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