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방러 직전 러시아 국영 리아노보스티통신 등 러시아 매체 기고문에서 “오늘날 세계는 한 세기 동안 볼 수 없었던 큰 변화를 겪고 있다”면서 “강대국의 패권 횡포가 심각한 위협을 가해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국제 사회는 위기를 타개할 협력적인 방안을 기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공급망 배제, 수출 통제 등으로 중국과 러시아에 각종 제재를 가하는 미국을 겨냥한 발언이다.
푸틴 대통령도 같은 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기고를 통해 “미국은 러시아와 중국에 대해 봉쇄 정책을 채택해 미국의 지시에 복종하지 않는 국가들을 봉쇄하려는 시도가 갈수록 만연해져 국제 안보와 협력이 무너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은 서방의 각종 제재에 대해 “불법적이고 일방적인 제재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해제돼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푸틴, ‘우크라 전쟁 중재 의지’ 中 환영
국제 사회는 시 주석이 이번 방러 기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종전 협상을 중재하는 것은 아닌지 주목하고 있다. 중국은 이달 6~10일 오랜 앙숙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측을 베이징으로 초대해 양국 간 외교 정상화를 중재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평화 조성자’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 주석은 기고문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복잡한 문제에 대한 쉬운 해결책은 없다”면서 중국이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1년에 맞춰 발표한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정치적 해결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모든 당사자가 공동으로 포괄적이며 협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보의 개념을 가지고 평등하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대화와 협의를 견지한다면 ‘우크라이나 위기’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방법과, 세계의 지속적인 평화와 보편적 안보로 가는 광명대로를 찾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국 간 군사 협력 강화나 무기 지원 여부 등은 두 정상의 기고문에 포함되지 않았다.
두 사람의 대면 만남은 지난해 9월 우즈베키스탄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지난해 12월엔 화상 회담으로 만남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