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영끌족의 한숨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정치권의 추가경정예산 논의, 미국 국채금리 급등까지 굵직한 이슈들이 겹치면서 대출금리가 위쪽을 바라보고 있어서다. 빚투용 신용대출 차주의 경우 조기 상환하면 된다지만, 부동산 영끌족은 쉽게 주택을 매매하기도 힘들어 주름만 깊어지고 있다.
|
10일 신한·농협·우리·하나·KB국민은행에 따르면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이날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변동·신규코픽스 기준)는 연 3.57%~5.07%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말(2.390%~4.047%)과 비교하면 금리 상단이 6개월여 만에 무려 102.3bp(1bp=0.01%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하단도 118bp 대폭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도 크게 올랐다. 이날 기준 4대 은행의 신용대출(1등급 기준) 금리는 연 3.44~4.73%로, 지난해 6월 말(2.79%~3.91%)과 비교하면 금리 상단이 82bp, 금리 하단이 65bp 올랐다.
2개월 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권발 추경 움직임도 금리를 위쪽으로 올리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신년 기자회견에서 설 연휴 전에 25조~30조원 규모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단언한 뒤 국고채 금리가 요동치고 있다. 30조원 규모 추경 편성을 위해서는 국채 발행이 불가피한데, 시중에 수조원 규모 국채가 발행될 경우 채권 가격이 하락할(금리 상승) 가능성이 높아서다.
국제 경제상황도 심상치 않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르면 오는 3월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며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거의 1.8%에 육박하며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급등한 것이다. 전세계 지표 금리로 인식되는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할 경우, 국내 금리도 전반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빚투’는 갚으면 된다지만…주택 영끌족 한숨
이는 은행권 대출잔액 추이에서도 드러난다. 지난달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전달 대비 2조원 가량 늘었지만, 신용대출 잔액은 반대로 1조5000억원 줄었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4개 은행 모두에서 일제히 줄어들며 유난히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주담대는 비교적 목적성이 뚜렷한 대출이지만 신용대출은 그렇지 않다”면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와 금리상승 등 영향으로 인해 신용대출 상환이 줄이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