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8 핀테크 컨퍼런스’에서 참가자들은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등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금융을 혁신하는 핀테크의 미래에 대해 “앞으로 크나 큰 성장 기회가 기다리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선진국에 뒤진 흐름을 따라잡는데 모두가 힘을 합쳐야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축사에서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앞으로 뱅크(기존 은행)는 사라지고 뱅킹(디지털 금융 거래)만 남을 것”이라며 “우리도 성장을 위해 빨리 업계 여러분의 목소리를 법과 제도에 담아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0년 안에 금융거래 절반이 온라인으로..핀테크, 비효율 해소”
|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 서비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의 이승건 대표는 “핀테크는 금융망을 기반으로 편리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며 “만약 광대역망(브로드밴드) 사용료가 비쌌다면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이 등장하지 못했을 것인 것처럼, 핀테크 혁신도 (금융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처럼)금융망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는 “1000조원 규모 세계 광고 시장의 80%, 2000조원 규모 세계 상거래의 45%가 온라인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에 비해 금융은 현재 20% 이하 수준으로, 앞으로 비중이 늘어날 여지가 상당하다”고 강조했다. 씨티그룹이 10년 안에 금융거래의 44%가 온라인으로 이뤄질 것이라 전망한 자료를 언급하며 “그 어떤 산업보다도 큰 기회가 올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가장 비효율적인 요소로 금융상품의 유통·선택 과정을 꼽았다. 신 대표는 “보험상품이 3~6년이면 절반 가량 해약이 일어나고, 은행 대출도 전체의 5%에서 중도상환으로 인한 수수료가 발생한다”며 “이런데도 보험이나 펀드, 카드 판매자에 대한 수수료가 연 11조원 지급되는 점은 사회적인 비효율”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일본에서 주식·펀드 등 투자상품에 대한 비중이 10%에서 16%로 늘어난 점을 언급하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제휴-협업 통한 종합 서비스로 갈등 정면돌파해야”
핀테크 업체들이 개별 업체 단독이 아닌 제휴·협업을 통해 성장 기반을 만들고 서비스의 다양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유신 한국핀테크지원센터장(서강대 교수)은 “흔히 금융에서는 왜 삼성전자 같은 기업이 못 나오냐고 하지만, 핀테크도 안정적인 모델 만들면 글로벌 진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화두가 되는 승차공유나 온·오프라인 통합(O2O) 서비스 등에 있어 업체들이 혼자 나설 것이 아니라 여러 업체와 협력하면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임정욱 스타트업얼라이언스센터장도 “처음에는 핀테크 업계가 기존 금융사의 영역 중 하나를 수직으로 파고들었다면, 이제는 다른 핀테크 업체와 제휴를 통해 초기 기능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정부와 정치권도 빠른 변화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핀테크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해 우리 정부도 노력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부족하다고 느끼셨을 것”이라며 “우리 경제의 혁신성장을 위한 티핑포인트(변곡점)를 만들기 위해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제정을 서둘러 ‘규제 샌드박스’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태규 국회의원(바른미래당)은 “정책은 방향과 타이밍이 중요해 혁신 가로막는 규제를 더 늦기 전에 과감히 풀어 없애야한다”며 “기존 관행들이 송두리째 뒤바뀌는 패러다임의 시대에 세계도 우리도 와있다”고 역설했다. 송희경 국회의원(자유한국당)도 “국가와 정부는 마음껏 뛰어보라고 판과 플랫폼을 열어주고 기업들은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