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제1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이날부터 이틀간 회사 측과 임금협상 실무진 교섭을 진행한다. 노조는 최종 교섭에서 회사 측의 추가 제시안이 없을 시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 조정 신청을 통해 파업권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
앞서 노사는 지난 6월 말 상견례 이후 총 11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노조는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지난 7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대책위원회로 전환해 압박 강도를 높였다.
노조는 중노위 조정신청 후 쟁의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할 계획이다. 투표가 가결되고 중노위가 노사 간 견해차가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단을 판단하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갖게 된다. 만약 실제 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포스코 역사상 첫 파업이 된다.
포스코는 지난해에도 1968년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를 겪었으나 극적 합의를 이룬 바 있다. 국가기간산업을 담당하는 포스코의 파업은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다. 팽팽한 대립을 이어오던 노사는 파업 시 국가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마라톤 교섭을 벌인 끝에 합의점을 도출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도 노조는 파업은 최후의 수단이라는 입장이다. 포스코 노조 관계자는 “파업은 쟁의 행위의 최종 수단”이라며 “파업하기 위해 쟁의 절차를 밟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
임금 인상률과 성과금 규모는 통상 전년도 경영 실적과 올해 경영 환경을 기반으로 정해진다. 포스코의 지난해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2조830억원으로 전년(2조2950억원) 대비 약 9.2% 감소했고 업황이 좋았던 2021년(6조6500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로 줄었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7983억원으로 전년(1조6165억원) 대비 50.6% 감소했다. 올해도 양사 실적은 좀처럼 반등 기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회사는 노조와 실무교섭, 본교섭 등 추가 교섭을 진행하기 위해 소통 중이며 원만하게 교섭을 타결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업황이 크게 악화한 상황에서 노조 파업 리스크는 철강업계 전반으로 번지는 모습이다. 현대제철 노조는 지난 5일 출정식을 갖고 총파업을 단행했다. 현대제철 노사 양측은 지난달 12일 상견례 이후 총 12차례 교섭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현대제철 노조는 현대차 수준의 임금과 복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올해 기본금 15만98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차량 지원금 할인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