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 상류에 있는 용담댐 물 사용을 놓고, 충청권 4개 시·도와 전북도간 분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용담댐 물 사용에 대한 재배정 시기가 도래하면서 충청권 지자체들은 “인구 증가와 산업계 수요 등을 고려” 추가 배분을, 전북도는 “당초 건립 취지를 살리고, 향후 수요를 고려할 때 100% 지역에서 사용해야 한다”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
10일 한국수자원공사와 대전시, 세종시, 충남도, 전북도 등에 따르면 충청권 4개 시·도는 최근 국가물관리위원회 소속 금강물관리위원회에 용담댐 물 공급량의 재조정을 건의했다. 용담댐은 충청권 지자체와 전북도가 20년간 한시적으로 체결한 물 배분 계획이 올해로 만료, 연내 재조정해야 한다.
문제는 이 조정안이 올해 끝난다는 점이다. 재조정 시기가 도래하자 충청권은 인구와 산업계 수요 등을 고려해 추가 배분을 요구하는 반면 전북은 1991년 수립한 기본계획과 향후 개발 가능성 등을 고려해 충청권에 물을 줄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들이 용담댐 물의 추가 배분을 요구하고 있는 근거는 인구 통계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통계 추세를 보면 전북 인구는 2045년이면 160만명으로 감소하는 반면 충청권 4개 시·도는 현재 550만명에서 57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현재 전북에서 용담댐에서 공급되는 물도 다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추가 배분의 명분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전북은 댐 기본계획 당시 설정한 135만t의 물을 모두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역의 장래 잠재용수를 고려하면 배정된 135만t도 부족하다”며 “용수를 공급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선제적으로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사용량은 적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용담댐 건설 목적에 따라 도내 산업단지에서 필요한 공업용수를 용담댐으로 전환하고, 익산시 및 진안군 지역 생활용수 등이 공급될 시 생·공용수 42만t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진행 중인 새만금 개발에 따른 미래 생·공용수 공급량도 55만t으로 추정된다”면서 충청권 4개 시·도 요구에 절대 불가를 거듭 밝혔다. 이에 따라 충청권 4개 시·도와 전북도간 이견은 1차적으로 금강물관리위원회에서 조정 절차가 이뤄지며, 이 조정이 실패할 경우 국가물관리위원회에 물 분쟁 조정신청으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