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채권단 자금 지원 더는 없을 것”
정부는 중소 조선사 구조조정에 대해 “공급능력 축소(다운사이징, downsizing) 및 자구노력을 강력히 추진하되 채권단의 추가 신규 자금 지원이 없을 것”이라며 “유동성이 부족하면 자체 노력으로 해결하고 이 마저도 어려우면 개별 회사 처리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즉, 청산 절차를 밟거나 블록공장, 대형사의 하청공장 등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단 것이다.
성동조선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3년 후인 2019년까지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총 3개 야드 중 2개 야드를 내년까지 매각하고 인력 감축 등을 통해 총 3248억원의 자구계획을 마련했다. 여기에 지난해 채권단이 집행키로 한 7200억원 중 아직 지원되지 않은 2230억원을 집행하면 3년 후까지 신규 자금 지원 없이 버틸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올해 매출액 2조원을 기준으로 수주가 점차 감소해 2018년 이후엔 절반 수준인 1조원으로 줄어들었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성동조선은 지난해 삼성중공업과 경영협력으로 6개 선주사와 19척의 수주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최종 계약을 맺은 곳은 아직 한 곳도 없다. 올 들어 신규 수주 건수도 0건이다. 일단 현재 건조 중인 45척 선박 인도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10월까지 기존 수주 물량을 인도할 만큼의 유동성은 갖고 있다.
유동성 부족 시달리는 대선·SPP 등 “내년 문 닫을 판”
대선조선, SPP조선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들은 내년엔 유동성 부족으로 문을 닫을 처지에 놓이게 됐다.
SPP조선은 지난달 SM(삼라마이다스)그룹과 매각 협상을 진행하다 결렬되면서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재매각 추진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조선업황으로서는 공염불에 그칠 공산이 크다. 더구나 내년 3월까지 기수주 선박 13척을 건조해 인도하면 더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다. 신규 수주를 받아야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정부는 “수주받은 선박을 최대한 조속히 건조하고 인도해 채권단의 RG 콜(Call)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자체 정상화가 어려우면 블록공장, 대형사 하청공장 등 다양한 처리방안을 사전에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