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은 최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자원개발 컨트롤타워 재건을 수차례 강조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Inflation Reduction Act)’ 위기를 기회로 삼아, 희토류 등 전략자원의 공급망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정부와 민간이 합심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
해외자원개발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석유·가스와 일반광물 등 해외자원개발투자 금액은 총 14억900만달러(약 1조9831억원)를 기록했다. 앞선 2014년에는 63억2300만달러(8조9021억원)로 고점을 찍은 이후 2017년 17억4700만달러(2조4597억원)로 떨어지고 투자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했다. 무리하게 추진했던 MB자원외교가 실패로 끝나면서 관련 예산, 세제 지원 등이 대거 사라졌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이에 관해 “광물 자원 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뼈아픈 실수”라고 꼬집었다. IT기기, 전기차와 같은 첨단제품 생산에 필수적 원재료인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개발 중요성이 더욱 커졌지만, 우리나라는 오히려 후퇴했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공기업 경영에 문제가 있다면 그 상처만 도려내야 하는데, 팔다리를 완전히 잘라버렸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정부가 해외자원 개발에 힘을 싣고 있지만 이 역시 민간 주도 방식이다. 공공은 민간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김 원장은 자원개발을 민간이 아닌 공공이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짧은 투자 기간과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수익을 내려는 민간으로서는 리스크가 큰 자원개발에 뛰어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자원개발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탐사와 개발의사결정, 탐사를 위한 인프라 건설에만 5년 가까이 소요되고 해당 국가의 인허가 절차나 현지 사정에 따라 10년 이상 장기간 투자를 진행해야 할 수도 있다. 오랜 시간과 막대한 돈을 들여 자원개발에 투자하더라도, 사업성이 보장된다고 단정할 수도 없다.
△김동환 원장은…
△남호주대학교 경영학과, 국제학 석·박사 △호주연구소(TAI) 연구원 △호크연구소 연구원 △남호주대학교 국제학과 Lecturer Level B △한반도광물자원연구센터 부소장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