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교육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행교육예방연구센터는 지난달 16일부터 21일까지 전국 599개교 초등학교 교사 1399명과 초등 2학년 학부모 55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교사 69.2%는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를 다시 운영해야 영어 교육의 지역 간·계층 간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고 대답했다. 방과후 영어를 다시 운영해도 지역 간·계층 간 차이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대답한 의견은 13.9%로 나타났다.
2014년 제정된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은 학교가 선행교육이나 선행학습 유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영어가 3학년 과정에 편성된 초등학교에서는 올해부터 1∼2학년을 대상으로 영어교육을 할 수 없게 됐다.
교육부는 초등 1·2학년 방과후 수업에서 영어를 금지한 이후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이같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방과후 영어 금지 약 1년이 지나 현장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1년간 여론조사와 워크숍을 거쳐 유치원 방과후 과정에서는 영어 수업을 허용하되 놀이 중심 영어만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초등 1·2학년 역시 놀이 중심의 방과후 영어는 허용하기로 했다. 다만 현재 법 개정 절차가 남아있는 상태다.
|
설문조사에서 교사 67.5%는 방과후 영어 수업을 다시 운영해야 사교육비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했다. 학부모의 66.6%도 같은 대답을 했다. 학교에서 하는 방과후 영어 수업이 사교육비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본 것이다.
교사의 54.3%가 올해 방과후 영어 금지가 사교육 참여를 줄이는 데 효과를 내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방과후 영어 금지가 사교육을 감소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대답한 비율은 29.2%였다.
학부모들 역시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 금지가 사교육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봤다. 초등 2학년 학부모들은 올해 방과후 영어 수업이 없어져 사교육 시장으로 옮겨갔다. 학부모의 64.1%는 영어 사교육 참여가 줄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사교육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는 의견은 18.4%에 불과했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담은 여전한 상황에서 방과후 영어만 없어지다보니 오히려 사교육 시장에 문을 두드린 셈이다.
학부모 65% “방과후 영어 개설됐다면 참여”
전문가협의회에서 전문가들은 “유치원과 초등 1·2 방과후 영어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며 “초등 1·2학년이 몰입할 수 있는 놀이나 신체·예술 활동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영어에 노출될 기회를 줘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다만 방과후 영어 수업을 하더라도 참여하지 않는 다수의 학생을 위해 초등 3학년에서 영어 기초부터 지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올해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 수업을 대체해 다른 강좌가 증설됐지만 참여율은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초등 1·2학년 방과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지난해 65만9345명에서 올해 63만7363명으로 2만2000명이 줄었다.
영어수업을 금지해 운영하는 강좌 수도 줄었다. 올해 방과후 수업으로 11만4673개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나 지난해보다 8624개(7%) 줄었다. 교육부는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 금지 이후 수익 감소를 이유로 방과후업체에서 3~6학년 영어 방과후 개설을 포기하는 사례도 파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