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불거진 북한 ‘선제타격론’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 문제를 놓고 전문가들이 팽팽히 맞섰다. 선제타격론을 두고서는 어떻게 북한의 공격 징후를 명확하게 판단할 것인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다. 또 사드 추가 배치에 대해서는 도입 시기나 효용성 부분에서 평가를 달리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돕고 있는 김정섭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에서 열린 ‘선제타격·사드 논란과 북핵 대응 전략 재점검’ 세미나에서 “북한의 핵 공격이 임박했다는 것을 현실에서 확실히 알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며 “만약 오판이라면 먼저 선제타격을 해 우리가 막으려고 하는 핵전쟁을 우리 스스로 촉발하는 역설적인 상황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소장은 선제타격 의지를 드러내는 것 또한 억제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선제타격 주장이 “오히려 북한에게 유사시에 핵을 사용해야 하는 압박감을 느끼게 할 것”이라고 했다. 김 부소장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주장한 수도권 사드 추가 배치도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봤다. 그는 “사드의 최저요격고도는 40㎞에 불과하다”며 “지난달 북한이 발사한 KN-23 미사일은 최고 고도가 20㎞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다.
|
신 센터장은 수도권 사드 추가 배치를 하나의 옵션으로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군이 개발 중인 L-SAM은 사드보다 기술 수준이 낮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레이더 수준이나 정밀도 부분에서 L-SAM은 사드와 차원이 다르다”며 “2030년대 사드 수준의 ‘L-SAM2’를 개발한다고 하지만, 그때까지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도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사드를 상호 보완재라고 생각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끝으로 신 센터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북한과 대화를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했고, 핵·미사일 억제력 강화를 제대로 못 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를 추가로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