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는 물론 유럽 항공권이 동이 났을 정도. 치열했던 항공권 예매 전쟁이 끝났다고 설렘과 기대를 갖기엔 아직 이르다. 갑작스러운 환경변화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예상치 못한 여러 감염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 경희대학교병원 감염면역내과 이미숙 교수에게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 대한 대처와 예방법에 들어봤다.
◇여행객은 증가, 감염병 예방은 제자리걸음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행된 1989년을 기점으로 해외여행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 해외여행자 수는 2,700만여 명, 국민 2명 중 1명꼴로, 1,900만여 명이었던 2015년과 비교해 약 42%나 증가했다. 이에 반해 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사전준비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전 국민을 불안에 떨게 했던 2014년 에볼라, 2015년 메르스, 2016년 지카바이러스 유행은 해외여행에서의 감염으로 시작됐다.
◇물과 음식, 그리고 모기 주의해야
감염면역내과 이미숙 교수는 “음식섭취에 의한 수인성전염병(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A형 간염)과 모기 매개 감염병(지카 바이러스, 뎅기열, 말라리아)은 작은 관심과 노력에 의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며 “나라별 기후와 생활 습관, 여행시점을 기준으로 유행하고 있는 풍토병 등에 대한 사전지식 함양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 ‘끓이고, 익히고, 벗겨먹자’
해외여행 간 주로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은 세균 감염된 식수나 음식섭취를 통해 이뤄진다. 주요 증상은 설사, 복통이며 감염 후 1~2일 내에 나타난다. 대부분 체내 면역체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잦은 설사로 인해 탈수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충분한 수분섭취, 예방적 항생제 등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여행 후 두통, 고열, 발진 나타나면?
모기는 해외에서도 방심할 수 없다. 대표적인 해외유입형 모기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은 열대숲모기에 의해 감염되며, 낮 시간에 흡혈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감염자 비율이 비교적 높다. 일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쳐 두통, 고열, 발진은 물론 혈소판 감소와 근육통, 지속적인 구토 증상이 동반된다. 뎅기열 감염환자 중 일부는 중증으로 진행돼 심한 출혈과 함께 쇼크, 사망에 이를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치료가 필요하다.
이 교수는 “긴 소매와 긴 바지 착용, 곤충 기피제 사용을 통해 모기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예방의 첫 단계”라며 “출혈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이나 진통소염제 사용을 피하며, 무엇보다 사전에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예방접종을 챙기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귀국 후 1-2주일 이내 열, 설사, 구토, 황달, 피부질환 등이 생기면 병원에 내원하여 감염성 질환 여부에 대한 진료 받는 것도 중요하다.
이 교수는 “여행 전 최소 1-2개월 전부터 필요한 예방접종을 준비하고, 말리리아 예방약은 최소 1주일 전부터 복용해야 한다”며 “예방접종과 예방약뿐만 아니라 필요한 구급약 등을 체크하고 필요 시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