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별로 살펴보면 격차가 컸다. 제주·대전의 경우에는 화변기 설치 비율이 각각 0.1%, 4.24%에 불과했지만, 경북·광주의 경우 각각 29.3%, 31.9%에 달했다. 서울의 경우 9만1159개 중 2만3381(25.65%)개가 화변기였다.
그 밖에도 교육 시설이 열악하다는 근거를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었다. 서동용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학교 2만718개교 중 7436개교(35.9%)가 건축자재에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을 포함하고 있다. 석면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정부는 2009년부터 석면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학생들은 석면에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여전히 교육환경이 열악하지만 정부는 지난날 7일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개편해 대학 등 고등교육에 활용하겠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경우 내국세의 20.79%와 교육세 일부로 구성되는데 내국세 전입 부분을 빼고 교육세 전입 부분인 3조6000억원을 고등·직업 교육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구상이다.
유치원과 초·중·고교 시설 개선에 책임이 있는 시도교육청은 불만의 뜻을 밝혔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에서 연차별로 계획에 따라서 시설 사업을 추진하는데 이게 예산이 줄어들다보면 자연스럽게 미뤄질 수 있다”며 “내년에 할 것을 내후년으로 미뤄야 하고 이런 상황이 분명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시설 개선은 계속 늦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교원단체 역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활용해 교육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소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학교시설 개선 등 써야할 예산은 많은데 이걸 대학에 지원하는 것에 교사들이 많은 우려가 있다”며 “학급당 학생 수 상한제 등 예산이 들어갈 곳이 많은데 교부금을 건드는 것은 교육 현실을 모르는 목소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