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교수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암 환자 650명을 한국인 전체 인구 가중치를 부여해 분석한 결과 흡연자 중 53%가 암 진단을 받은 후에도 계속 흡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평균 흡연량은 14.5 개비를 피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앞으로도 담배를 끊을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흡연자 중 1개월 내 금연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22.6%, 6개월 내 금연계획은 2.8%, 6개월 이후 금연계획은 40.2%로 조사됐지만, 금연계획이 없다는 환자가 무려 34.3%로 3분의 1 이상이 계속 흡연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박현아 교수는 “암 진단자에서 흡연은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와 같은 암 치료를 방해할 뿐 아니라 암 환자의 재발율을 높여 사망률을 높이며 2차 암의 발생률도 높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금연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암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자포자기한 심리상태로 흡연하거나 흡연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흡연자 스스로 건강상태를 낮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흡연을 계속할 확률이 5.5배 높게 나타나 가족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형편이다.
암 생존자 전체 흡연율은 7.8%로 서양의 암 생존자 흡연율인 15-32% 보다 낮았지만 이는 암 생존자 중에서 여성이 많고 우리나라는 유교의 영향으로 여성흡연율이 서양보다 매우 낮기 때문에 암 진단 후 금연율은 서양과 유사하게 50%도 안되는 실정이다.
박현아 교수는 “암 환자의 금연율이 낮은 이유는 암 진단 후 암 치료에 급급해 암 치료와 연계된 금연치료를 실시하지 않으며 아직은 금연치료가 의료 급여화 되어 있지 않아 환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며 “암 진단 초기에 금연을 유도하는 것이 최적의 타이밍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의료진과 보호자 모두 금연 치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정부는 국가 보건 정책의 일환으로 국민 건강 보험으로 금연치료를 급여화 해줘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