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록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5명의 금통위원 중 4명은 추가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을 낮춰 물가 상승세를 낮추고 자본 유출, 원화 약세 등을 완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금리 인상을 언제까지 이어갈 것이냐에 대해선 의견들이 달라지고 있었다.
가장 매파적으로 읽히는 한 금통위원은 “향후 경기 및 물가 전망, 금융상황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상당기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며 “다만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과 통화정책의 파급시차 등을 고려할 때 향후 물가가 예상경로를 크게 상회하지 않는 한 점차적인 금리 인상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가 밝혔듯이 물가상승세가 3분기말, 4분기초에 고점을 찍고 내려간다면 앞으로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동조한 것이다.
주요국의 긴축 정책과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위험회피 성향이 커지고 있어 자본유출 가능성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금통위원은 “작년 4분기 이후 경상수지 흑자규모 축소, 해외증권투자 확대 등으로 외환수급이 순유출로 돌아섰다”며 “외환 건전성 도모를 위해 거시경제안정 등 양호한 펀더멘털이 중요하나 글로벌 금리 급등기에는 내외금리차의 빠른 역전을 방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은 금리 인상 기조에 동조하면서도 금리 인상 기조 지속 기간은 ‘당분간’이라고 표현했다. 이 금통위원은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과정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비용 상승이 가격에 전가되는 파급시차를 감안할 때 물가상승 압력이 한동안 지속될 수 밖에 없다. 6%대 물가상승률이 적어도 3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1명의 금통위원은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기보다 빅스텝 인상이 가져올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금통위원은 “빅스텝 인상을 결정하면서 우려한 점은 금리 인상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경기 하강”이라며 “한은이 취약부문에 대한 충격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 금융안정 책무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택가격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경우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모든 소득 분위에서 70%를 상회해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주택 가격 하락과 같은 충격에 완충장치 역할을 할 유동자산 비중이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