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1000개 기업(중소 894·중견 90·대기업 16개사)을 대상으로 ‘2019년 산업표준화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KS인증은 국가통합인증마크(KC)와 함께 쓰이는 정부의 제품 품질 인증 제도다. KC는 제품의 국내 정식 판매를 위해선 의무로 받아야 하고 KS 역시 의무는 아니지만 전 산업 분야에 걸쳐 널리 쓰이고 있다.
조사 결과 KS인증 보유기업(141개사)의 90.8%가 KS인증에 따른 제품 매출 증가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전체 응답기업의 13.3%는 KS인증으로 매출이 50% 이상 늘었다고 답했다. 30~50% 늘었다는 응답이 18.8%, 10~30% 늘었다는 응답이 49.2%였다.
기업들은 KS인증을 받느라 통상 3~6개월을 소요했다. 가장 많은 53.9%가 3~6개월 걸렸다. 6개월 이상 걸린 비율은 27.6%였고 18.4%는 3개월 미만 걸렸다. KS인증 연간 유지비용도 가장 많은 38.3%는 300만원 미만이 들었으나 300만~500만원(25.5%), 혹은 500만원 이상(36.2%) 쓴 곳도 적지 않았다.
응답 기업은 KS인증 취득과 유지의 목적으로 △제품신뢰도 제고(80.9%·이하 복수응답) △품질 향상(78.0%) △공공기관 납품(57.4%) △외부 홍보(58.2%)를 꼽았다. 정부는 KS 인증제품에 대해선 연 120조원 규모 공공조달 시장에서 제한경쟁이나 지명경쟁 입찰을 할 수 있도록 혜택을 주고 있다. 또 각종 검사나 형식승인도 면제해 주고 있다.
또 이 같은 어려움에도 대부분은 표준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내부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응답 기업의 90.9%(복수응답)는 표준화 어려움 해결 방법으로 내부인력 활용을 꼽았다. 관련기관 상담(29.6%)이나 유료 컨설팅(25.3%), 관련기관 교육(25.1%), 협력사 네트워크 활용(22.4%) 등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KS인증이 품질 확보와 공공조달 인센티브 등에 힘입어 매출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포스트 코로나와 4차 산업혁명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KS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표준대학원 사업 등을 통해 표준 전문인력 양성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