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는 19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11월 국방부에 요청한 캠프마켓 B구역 정화공사 임시 중지에 대한 철회를 요청해 중단됐던 사업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 “국방부가 오염정화 주체”
정동석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지난해부터 이달 초까지 병원 건축물 존치 여부를 두고 부평구, 일본육군조병창 역사문화생태공원추진협의회(협의회), 캠프마켓 부평숲 주민추진위원회(위원회)와 3차례 소통간담회를 열었지만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국방부 책임하에 완전히 정화하고 문화재청의 가치판단에 부합하는 최적의 보존 방안을 실행하겠다는 기본원칙을 두고 있다”며 “병원 건물이 철거돼도 흔적이 최대한 남겨지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
그러나 협의회는 인천시의 정화작업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이 단체는 이날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가 합의사항을 파기했다고 비판했다.
협의회 “설문 통해 존치 여부 정해야”
이 자리에서 김재용·김형회 협의회 공동대표는 “3차 소통간담회에서 부평구민, 인천시민 대상 설문조사와 공론화 등 여론수렴 절차를 거쳐 병원 건축물 존치·철거를 결정하기로 위원회와 합의했다”며 “그러나 시는 이같은 소통당사자 간의 합의사실을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4차 간담회 회의록 서명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4차 소통간담회는 지난 18일 남동구 구월동 인천YWCA 대회의실에서 협의회, 인천시, 부평구만 참여한 채 열렸다. 애초 위원회는 3차 간담회까지 참석했지만 4차 간담회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
B구역에는 일제시대 조병창의 병원 건물이 남아 있다. 문화재청은 2020년 역사적 가치 때문에 병원 건물 등 B구역 일부 시설의 보존을 인천시에 권고했다. 하지만 시는 오염정화의 주체가 국방부이고 법적 기한 안에 정화를 완료해야 한다는 이유로 병원 건물 존치 없이 정화작업을 벌이는 것에 동의했다.
이상의(한국근현대사 전공) 인천대 기초교육원 교수는 “캠프마켓에는 조병창 건물·땅굴이 광범위하게 남아 있다”며 “일제침탈, 병참기지의 상징인 조병창을 조사도 제대로 하지 않고 철거를 결정한 것은 문제이다. 당국은 이곳에 어떤 시설이 있는지 정확히 모른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1941년 개창한 부평 조병창은 330만㎡ 이상의 규모이고 1공장군, 2공장군, 3공장군으로 운영됐다. 미군은 1970년대부터 이곳 일부를 캠프마켓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