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물가 상승폭, 16개월만 최저치
19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7% 올라 지난해 5월(3.1%)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물가의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은 2월(16.2%) 고점을 찍은 후 지난 달까지 7개월 연속 둔화하고 있다.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농축수산물이 차지하는 기여도도 2월 1.26%포인트에서 9월 0.33%포인트로 크게 낮아졌다.
|
작황에 따른 공급 여건에 큰 영향을 받는 농산물의 경우 4분기 접어들면서 가격이 본격 하락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 관측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국승용 농업관측본부장은 “올해 작황이 양호했고 지난해 농산물 가격이 높았던 기저 효과가 작용해 이미 대부분 농산물 가격은 9월부터 하락세에 접어 들었다”며 “쌀, 달걀, 소고기, 돼지고기 등 가격이 관건인데 쌀은 올해 생산량이 늘어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달걀은 가격 예측은 힘들지만 산란계 입식은 예년 수준으로 늘어난 상태”라고 분석했다.
과채 중 토마토와 풋고추의 경우 출하량이 전년대비 3~5% 늘어나면서 10kg당 도매가격은 전년대비 1만원 이상 하락한 2만4000~2만8000원, 3만3000원으로 예측했다. 채소 품목별 예상 도매가격을 보면 무 8000원(20kg당), 당근 2만8000원(20kg당), 건고추 1만1000원, 양파 900원(kg당)으로 전년대비 각각 48.7%, 43.2%, 32.3%, 25.6% 하락할 전망이다.
달걀·육류 등 축산물 가격 안정 관건
쌀의 경우 20kg당 월평균 도매가격이 작년만 해도 4만~5만원 초반에 머물렀지만 올 8월 5만9000원까지 올라 쌀 가공식품 등 가격 상승을 부추긴 바 있다. KREI는 올해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나면서 공급 과잉으로 수확기 가격이 전년대비 하락할 것을 예측했다. 통계청 조사에서도 올해 예상 생산량은 전년대비 9.1% 증가한 382만7000t으로 집계됐다.
축산물의 경우 여전히 가격 하락 요인은 크지 않은 편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살처분 여파가 미친 달걀(계란)은 한판(30개)당 월평균 소매 가격이 한때 7500원 안팎까지 오르다 10월 6100원대로 낮아졌지만 5000원대였던 작년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돼지고기 도매가격(kg당)은 10월 상순 5138원으로 지난달 하순보다 10.2% 내렸지만, 소고기는 같은 기간 2.5% 하락에 그친 상태다.
수급 여건이 증가·감소 사이클을 이루는 농축산물 특성과 소비 형태 변화를 감안해 정부 정책도 중장기 관점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 지적이다.
이정환 GS&J 인스티튜트 이사장은 “기상 요인 등에 따라 농축산물 수급과 가격이 변동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배면적 감소 등 구조적인 요인으로 가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며 “가격 급등·급락에 따른 위험 요인을 완충하는 정책 지원으로 밥상 물가 부담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