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산 로켓 누리호의 뒤를 이을 차세대 로켓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통과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도로 개발했던 나로호, 누리호와 달리 차세대발사체는 사업 시작부터 민간기업을 선정하고, 기업이 설계, 제작, 조립, 시험, 발사 등 발사체 개발과 운용에 모두 참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차세대발사체 개발 사업이 개발기간 10년(2023년~2032년), 총 사업비 2조 132억원 규모로 예타를 통과했다고 이날 밝혔다.
차세대발사체는 누리호의 성능을 노펴 대형위성발사와 우주탐사에 쓸 로켓이다. 1단은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5기를 묶어(클러스터링) 구성하고, 2단은 1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2기로 구성한다. 재사용 로켓으로 개량이 쉽게 엔진에 재점화, 추력조절 기술도 적용할 계획이다.
차세대발사체는 개발 기간 동안 총 3회 발사할 예정이다. 2030년에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을 발사해 발사체 성능을 확인하고 2031년에는 달착륙선 예비모델을 발사해 달착륙 임무에 쓸 예정이다. 사업 마지막 해인 2032년에는 달착륙선 최종 모델을 발사한다.
차세대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현재 민간기업으로 기술을 이전하고 있는 누리호와 함께 우리나라 대표 발사체로서 임무를 할 예정이다. 누리호는 약 1.9톤 이하 지구 저궤도 위성을 투입하는데 쓰고, 차세대발사체는 누리호로 하지 못하는 대형 위성 투입과 달, 화성 탐사선 발사 등 우주탐사에 쓴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독자적인 발사체 기술 없이 세계 우주개발 각축전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며 “우리가 누리호를 개발하며 확보한 발사체 기술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우주강국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누리호와 차세대발사체 성능 비교.(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