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에는 양자기술 연구개발, 인력양성, 국제협력, 산업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지원해 양자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하는 방안이 포함될 전망이다. 현재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양자 강국 대비 5년 정도 뒤처진 양자기술을 스위스, 미국 등 해외 국가와도 협력해 인력양성, 국제협력을 통해 빠르게 기술도 확보할 계획이다.
|
과학계 관계자는 “초전도 방식의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도전적이지만 20큐비트, 50큐비트에 이은 1000큐비트를 개발해 미국, 중국, 유럽연합, 일본과 견줄 수 있는 양자 강국으로 진입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발전 전략에는 현재 250명 수준의 양자기술 핵심인력을 늘리는 방안도 담는다. ‘제3회 국가연구개발투자혁신 콜로키움 양자기술 연구개발 추진방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박사급 고급 핵심인력은 △국내 30개 대학(92명) 7개 정부출연연구기관(144명) 34개 기업(60명)에서 약 250명 수준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중국 등이 양자기술 개발 경쟁을 하는 가운데 양자 기술은 미래 산업·안보의 ‘게임체인저’가 될 파격적 혁신 기술”이라며 “양자기술이 개발 초기에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늦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력 우위를 만든 것처럼 우리나라도 양자기술에 관심을 두고 투자를 해나가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