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5월 출범과 함께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기존 중앙정부 주도 방식에서 지방정부, 즉 각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가 주도해서 추진한다는 정책방향을 확립했다. 또 이에 따라 지난달 지방자치분권특별법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통합한 새 법안 제정을 추진, 지난달 시행했다. 새 특별법에 따라 중앙정부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지방시대위원회도 지난달 출범했다.
이날 출범한 지방시대 혁신성장 정책포럼은 지방시대위원회가 추진할 정책 과제를 구체화하는 씽크탱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곳에서 나온 정책을 대통령 주재 중앙지방협력회의나 지방시대위 안건으로 상정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 정부는 실패 원인을 기존 중앙집권적 정책의 결과로 보고 지역 주도형으로 전환했으나 만성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 지자체가 이를 성공리에 이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날 토론 주요 참석자들도 이 같은 이유로 기회발전특구 추진 과정에서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을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 기업이 사람과 인프라가 몰린 수도권을 벗어날 유인이 없는 만큼 정부가 수도권 기업이 이 같은 핸디캡을 안고도 지방이전을 결정할 정도로 파격적인 세제·인프라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각 지자체는 지방 자치권 강화가 구호에 그치지 않고 정부의 핵심 권한까지 지자체에 이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강민철 제주도 특별자치제도추진단장은 “정부가 중앙 행정 권한을 일괄적으로 주는 게 아니라 단편적으로 이양하면서 정책 완결성이 결여한 상황”이라며 “제도 완성을 위해선 포괄적 권한 이양으로 도의 자율 책임 아래 정책 완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군내 섬 브랜드화 사례를 언급하며 “신안은 인구소멸 고위험 전국 1위이고 재정 자립도도 220곳 중 200위를 차지하는 지역이지만 섬 브랜드화 등 많은 노력으로 여러 기적을 만들었다”며 “226개 시·군·구가 정부의 획일적 정책에 맞추는 게 아니라 중앙정부가 이들 시·군·구에 맞는 정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