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의 태양광 발전설비 확대 정책의 부작용을 바로잡고 가겠다는 취지의 발언이지만 잇따른 인수위발 신·재생에너지 정책 재검토 예고에 시장이 위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
◇“실수 반복 않도록 부작용 면밀 검토해 국정과제 수립”
권영세 부위원장은 5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에서 열린 간사단 회의에서 “자연재해나 인적재해, 산불 외에 친환경 가면을 쓴 무분별한 태양광 패널 설치도 산림을 훼손한다”며 “인수위는 실수를 반복 않도록 부작용을 면밀히 검토해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약속을 지키는 국정과제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태양광 벌목’으로 250만그루의 나무가 사라졌다고 한다”며 “탈원전(원자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집착이 합법적 산림훼손을 부른 것”이라고 했다. 권 부위원장은 이어 “우후죽순 뒤덮인 태양광 패널로 산사태가 수시로 발생하고 논밭이 줄고 저수지 수중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끼쳤다”며 “현실 고려치 않은 끼워맞추기식 정책 실행이 낳은 부작용”이라고 덧붙였다.
|
현 정부의 국내 태양광발전 보급 확대 정책의 부작용을 작심 비판한 것이다. 태양광발전 설비 때문에 나무 250만그루가 사라졌다는 건 공식 집계는 아니지만 국민의힘과 원자력계를 중심으로 언급된 바 있다. 김용판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20년 행정안전부 국정감사 때 태양광발전 사업으로 250만그루의 나무가 베어지고 여의도 면적 17배의 산림이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현 정부도 산지태양광 발전설비에 안전 문제 우려가 있다고 보고 2019년부터 허가 경사도 기준을 낮추는 등 대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는 1만2527개 국내 산지태양광 중 산사태 위험이 큰 530개를 중심으로 안전점검을 진행하기도 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의 주 수입원인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산지 태양광발전설비에 대해선 낮추기도 했다.
잇따른 면밀 검토 예고에…재생에너지 위축 우려도
권 부위원장의 발언은 새 정부 역시 같은 맥락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 과정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윤석열 당선인 역시 원전(현 29.4%→최대 35%)과 함께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중 확대(현 7.3%→최대 25%)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발전업계와 전문가 사이에선 인수위의 잇따른 ‘면밀 검토’ 발언이 자칫 관련 업계를 위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
다만, 태양광·풍력발전의 간헐성으로 국내 전체 발전전력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 1월 기준 7.3%로 아직 한자릿수에 머물러 있다. 이를 최대 25%까지 늘린다는 윤 당선인의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선 새 정부 역시 공격적인 설비 보급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지난달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도 나름 한다고 했으나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3%에서 8%까지 끌어올리는 데 5년 걸렸다” “윤석열 정부가 원전을 중심에 놓고 재생에너지를 곁다리로 놓는다면 15% 달성도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